마이크론 크루셜 P3 Plus M.2 SSD 구매 후 TLC QLC 확인

Posted by gams
2025. 3. 21. 17:55 카테고리 없음

마이크론 크루셜 P3 Plus M.2 SSD를 구매했습니다. 얼마 전에 알리에서 행사를 해서 1TB 제품을 5만원대에 구매했네요. 요즘 생산되는 제품들이 TLC 제품이라고 해서 별 의심 없이 구매를 했던 것 같습니다. 가격이 싼 만큼 DRAM이 없는 디램리스 제품입니다.

마이크론 크루셜 P3 Plus M.2 SSD 구매 후 TLC QLC 확인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당연히 HDD나 SDD보다는 훨씬 빠른 속도를 보장하므로, 가격이 쌀 때 이렇게 한 개씩 구매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네요.

아직까지 2TB 이상은 HDD 제품으로 저장을 하고 있어서, OS 구동용이나 간단한 게임 설치용으로는 좋은 제품이라 생각됩니다.

 

 

Micron Crucial P3 Plus 개봉

 


특별히 하드디스크처럼 충격을 받아서 손상될 제품은 아니기에 이렇게 검정 비닐 한 장에 담겨 옵니다.

열어 보면 작은 종이 상자에 품명이 적혀 있네요.



안쪽에 또 플라스틱 포장이 한 번 더 되어 있습니다.

잘 안 주는 나사도 포함되어 있네요. 드라이버가 들어 있는 모양으로 포장이 되어 있지만 드라이버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제조국은 말레이시아입니다.



저는 외장 하드로 사용할거라서 오리코의 인클로저에 장착했습니다. 참고로 오리코의 저렇게 생긴 저렴한 인클로저는 최대 읽기 쓰기 속도가 1000MB/s 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추천하지는 못하겠네요. 

특별한 연결 이슈 없이 잘 인식되었고, GPT 방식, NTFS로 포맷했습니다.

 

 

크루셜 P3 Plus TLC QLC 구분 방법

 

보통 M.2 SSD를 구매할 때 TLC인지 QLC인지를 따져보게 됩니다. 둘은 낸드 플래시의 종류입니다. TLC가 셀당 3비트를 저장할 수 있고, QLC는 셀당 4비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LC 제품이 QLC에 비해서 더 빠른 쓰기 속도와 저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더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구 수명이 QLC보다 높다고 하겠죠.

하지만 중요한 건 실제 사용할 때는 둘 사이의 큰 차이점을 못 느낀다는 것입니다. 어차피 디램리스 제품이라면 둘의 속도 차이를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3 Plus 제품은 컨트롤러가 파이슨, Phison E21T라는 제품이 달려 있습니다. 



낸드가 2개 있는 제품이 처음 나온 제품이라고 하는데, 저는 낸드가 1개만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보통 인식을 할 때 컨트롤러를 확인해서 플래시툴로 TLC 확인을 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확인을 위해 검색 후 해당 사이트를 찾아서 맞는 유틸리티를 다운받았습니다.

 

http://vlo.name:3000/ssdtool/

 

SSD utils (14.03.2025)

 

vlo.name:3000




여기 들어가면 Phison utility라고 있습니다.

E21T라고 했으니, 표시된 링크를 클릭해서 파일을 다운받으면 됩니다.

파일명은 phison_nvme_flash_id2.rar입니다.

윈도 11에서 rar 기본 압축을 풀 수 없어서 반디집을 이용해서 풀었습니다.

폴더에 포함된 phison_nvme_flash_id2.exe 파일을 실행하면 연결된 드라이브명을 묻는데요, 여기서 장착된 드라이브 숫자를 넣고 엔터를 치면 TLC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해당 툴로 드라이브 인식이 안되더군요. 이게 외장 하드로 잡아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어쨌든 이렇게 인식이 안 되면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스티커를 떼 보면 낸드에 FBGA 코드가 적혀 있습니다. 

저는 낸드에 적혀 있는 FBGA 코드가 NY340이라고 되어 있네요.

이걸 아래 링크에서 조회해 봅니다.

https://www.micron.com/sales-support/design-tools/fbga-parts-decoder

 

FBGA & part decoder

Micron's FBGA Parts Decoder tool simplifies the identification of Micron semiconductor components

www.micron.com




FBGA Code란에 방금 확인한 NY340을 입력해서 조회해 주세요.

그러면 Part Number가 나올 겁니다.



해당 파트 넘버에서 O8E라고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죠.

O8 뒤에 Q라고 되어 있으면 QLC, T라고 되어 있으면 TLC 제품입니다.

다행히 제가 받은 제품은 TLC가 맞네요.

그리고 파트 넘버 그대로 구글 검색을 하면 손쉽게 TLC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량으로 구매하는 IT 전문 사이트인가 봅니다.

설명에 보면 NAND 플래시 TLC 8Tbit 8 308/368 LFBGA 8 CT라고 되어 있네요.

위 사항들을 종합해 볼 때 그냥 TLC 제품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마무리

 

시중에 워낙 싸게 M.2 SSD가 풀리다 보니까 조금이라도 성능이 더 나은 걸 구매하려는 욕심이 생기나 봅니다. 기본적인 성능은 예전에 사용하던 하드 디스크나 일반 SSD보다 훨씬 좋은 편입니다.

초기에 이렇게 확인하고 나면 그냥 열심히 용량 채워서 쓰면 되겠죠. 가득 채우면 속도 저하가 난다고 하니까 대략 50% 정도를 채우고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마이크론 크루셜 P3 Plus M.2 SSD 구매 후 TLC QLC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