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이후 남북정상회담은 꾸준히 추진되어 왔지만, 처음 성사된 것은 국민의 정부인 김대중 대통령 때였습니다.
이후 참여정부였던 노무현 대통령 때도 한 차례 성사되었지만, 이후 이명박, 박근혜 때는 남북관계가 경직되어 추가 회담이 성사되지는 못했습니다.
현재까지 두 번의 회담이 있었으며, 2018년 4월 마지막주 금요일인 4월 27일에 세 번째 정상회담이 개최됩니다.
한국전쟁 이후 역대 남북정상회담 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었는지 아래에 정리해 봅니다.
역대 남북정상회담 일정
첫 번째 회담
일시: 2000년 6월 13일 ~ 6월 15일(3일)
장소: 평양
방북 방법: 대통령 전용기로 서울공항-> 순안공항 이동
회담 개최일: 2000년 6월 14일
남북 정상: 김대중 대통령, 김정일 국방위원장
합의문: 6.15 남북 공동선언
주요 합의 내용:
남과 북이 통일 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
가족, 친척 방문단 교환과 비전향 장기수 등 인도적 문제 해결.
경제협력을 통해 남북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 등 제반 분야에 협력.
두 번째 회담
일시: 2007년 10월 2일 ~ 10월 4일(3일)
장소: 평양
방북 방법: 육로 이용 - 도보로 군사분계선을 넘은 후 평양개성고속도로 이용
회담 개최일: 2007년 10월 3일
남북 정상: 노무현 대통령, 김정일 국방위원장
합의문: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10.4 선언)
주요 합의 내용:
직접 관련된 3자, 혹은 4자가 만나 종전 선언 방안 추진.
정치, 군사, 경제, 사회 분야에서 공동사업 진행 합의.
세 번째 회담
일시: 2018년 4월 27일(1일)
장소: 판문점 평화의 집
방북 방법: 육로 이동
회담 개최일: 2018년 4월 27일
남북 정상: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국무위원장
합의문(추정): 4,27 남북 공동선언
주요 합의 내용(추정):
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
육로를 이용한 경제, 관광 협력.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등 재개.
한반도 비핵화 선언.
(사진 출처: 청와대 홈페이지)
그동안 남북 수뇌부가 서로 만나 더 나은 방향으로 관계가 확산되기를 바랐지만, 여러 주변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관계 개선이 이뤄지질 못했습니다.
이번에 개최되는 세 번째 회담에서는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해서 한 단계 전진하는 올바른 남북관계가 정립되길 바라봅니다. 이상 역대 남북정상회담 일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세상의 모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도로 교통상황 실시간으로 확인 하기 (0) | 2018.05.25 |
---|---|
넷플릭스 해지 간단한 방법 (0) | 2018.04.30 |
브라운 3010s 3020s 3030s 차이점 비교 (0) | 2018.04.19 |
지역의료보험 계산 하는 방법 (0) | 2018.04.12 |
2018 9급 공무원 봉급표 확인하기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