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지난 번 경주 지진 때 인터넷으로 가장 많이 검색해 봤을 법한 것은 바로 집 근처 대피소일 겁니다. 그냥 검색 창에 '대피소 위치'라고 검색하면 지도 상에는 가까운 위치부터 근처 있는 곳들을 차례대로 보여 주죠.
저도 검색해 보니까 근처 여러 장소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학교 운동장이나 내진 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의 지하 등을 많이 활용하고 있네요.
하지만, 이것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 주소와 정확하게 등록된 곳을 찾아보는 게 좋습니다. 인증되지 않은 장소라든가 지정이 취소되고 새로운 지역으로 바뀐 곳도 있기 때문이죠. 이런 곳들을 모아서 바로 전쟁시나 지진 발생시 근처 가까운 대피소 위치를 한번에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내용대로 둘러보시면 재난 발생 때 바로 대피할 수 있는 곳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겁니다.
가까운 대피소 위치 한번에 확인하는 방법
1. 검색 창에 '대피소 위치' 혹은
'국민재난안전포털'이라고 검색
2. '국민재난안전포털' 선택
3. 오른쪽 위 메뉴 버튼 클릭
4. 민방위-> 비상시설-> 대피시설 선택
5. 내용 확인 후 시군구 등 선택하고 '검색'
6. 예를 들어 종로구 선택 후 검색하면
36건의 장소가 나옴.
7. 주소지 클릭하면 다음 지도로
연결해서 위치 확인 가능. 끝.
이런 식으로 다른 장소 등을 검색하거나 현재 있는 위치를 검색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로 대도시의 경우는 관공서의 지상이나 지하, 그리고 아파트는 대부분 지하 주차장이 대피 장소로 많이 사용되고 있네요.
지방 역시 마찬가지로 정리된 리스트가 있기 때문에 검색하면 잘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부산 해운대로 검색하니 지하철 역이 대피 장소로 사용되는군요. 아무래도 땅 속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또 넓은 공간을 갖추고 있어서 비상 상황 때 안전한 장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전시가 아닌 지진시 떨어지는 낙하물에 주의해야 하는 옥외대피소를 찾아보려면 앞서 메인페이지에서 재난현황-> 지역상황-> 지진 옥외대피소를 선택해서 확인하면 됩니다.
이상으로 자신의 집이나 직장에서 근처 가까운 대피소 위치를 한번에 바로 확인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미 관련 어플 등을 통해서도 위치 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비상시 갈 수 있는 곳을 미리 알아둔다면 좀 더 빠른 대피가 가능하겠네요.
'세상의 모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니버스편성표 확인으로 만화 보기 (0) | 2017.04.18 |
---|---|
모르는 전화번호 검색하기 (1) | 2017.04.13 |
부산에서 인천공항까지 내항기로 이동하는 방법 (0) | 2017.04.08 |
여권사진규정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17.04.07 |
재산세 납부증명서 빠르게 발급하는 방법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