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36개의 글

무료 PDF 뷰어 어도비 애크로뱃 리더

Posted by gams
2024. 11. 12. 23:14 IT/기타

무료 PDF 뷰어로 쓸 수 있는 어도비 애크로뱃 리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DF 파일은 다양한 문서 형식을 빠르게 전송할수 있는 문서 파일이죠.

무료 PDF 뷰어 어도비 애크로뱃 리더


대부분의 회사에서 pdf 파일을 이용해 서류를 주고받곤 하는데요, 간혹 자신의 노트북이 아닌 곳이나 공용 PC에서 이 pdf 파일을 보려고 하면 난감할 때가 있죠.

어도비 애크로뱃은 이런 때 활용할 수 있는 pdf 뷰어 pdf 리더입니다. 그럼 어떻게 다운받아서 활용할 수 있는지 한 번 살펴 보겠습니다.

 

 

 

어도비 애크로뱃 리더 다운로드  


어도비 애크로뱃은 언제 어디서나 문서를 간편하게 제작하고 편집하고 공유, 서명까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유료로 제공되지만, 7일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체험판이 기본 제공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리더 기능뿐만 아니라 애크로뱃의 모든 기능을 사용해 볼 수 있죠.



>> 무료 어도비 애크로뱃 리더 다운 공식 링크

 

Adobe: Creative, marketing and document management solutions

Adobe is changing the world through digital experiences. We help our customers create, deliver and optimize content and applications.

www.adobe.com




해당 페이지에서 무료 체험하기 버튼을 누르면 7일 동안 무료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이 안 되어 있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서 가입하면 됩니다.



가입할 때 연간 구독에 선택되어 있는데, 어차피 결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월간 구독을 선택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가입하고 7일 동안 무료이고, 7일이 지나면 과금된다는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아래 필수 동의에 체크한 다음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신용 직불카드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무료 체험 기간 전에 해지하면 과금되지 않습니다.

* 체험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구독 취소를 하면 과금되지 않습니다. 어도비 계정이나 고객센터를 통해서 무료 체험 기간이 7일 전에 취소를 하면 됩니다.

정보 입력 후 아래쪽 동의 및 구독 버튼을 눌러줍니다.



무료 체험이 시작되었다는 문구가 뜹니다.

해외 결제라서 카드 확인을 위해 100원 결제가 한 번 되었다가 취소됩니다. 다른 금액은 무료체험 기간 동안은 결제되지 않으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제 어도비 애크로뱃을 7일 동안 체험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Acrobat Pro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독 메시지 창에서 내 암호 만들기 버튼을 이용해서 암호를 생성해 주세요.

 

애크로뱃 프로 설치 및 해지하기

 

암호 생성 후 아래 필수 체크 요소에 체크하고 계정 완성 버튼을 눌러줍니다.



Acrobat_Set-Up.exe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세요.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면 표시된 창에서 다운로드 다시 시작 부분을 클릭해 다시 재다운 받기 바랍니다.



가입 브라우저의 계정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인증 후에 자동으로 Adobe Acrobat이 설치됩니다. (다른 Adobe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Creative Cloud 데스크탑 서비스가 같이 설치됩니다.)

설치에는 몇 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자동 실행이 되면 계정 활성화를 위해 처음 인증코드를 이메일로 받게 됩니다.



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하고 나서 어도비 애크로뱃을 활용하면 됩니다.



그동안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어봤던 pdf 파일들을 마음껏 편집할 수 있어 좋네요.

체험 기간 전에 구독 해지를 원한다면 아래 링크를 이용하면 됩니다.  
 

>> 구독 취소를 위한 고객센터 바로가기 링크:
https://helpx.adobe.com/kr/manage-account/using/cancel-subscription.html

 

Adobe 체험판 또는 구독 취소

데스크탑용 Lightroom을 통해 로컬 하드 드라이브에서 내 사진에 계속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가져오거나 구성할 수 있으며 내보내기, 게시, 인쇄, 웹 또는 슬라이드 쇼를 통해 편집한 사진

helpx.adobe.com


구독 취소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플랜 > 플랜 관리 > 무료 체험 취소

과정을 거치면 무료 체험 구독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 만약 플랜으로 들어가서 구독 내역이 보이지 않는다면 24시간 후에 시도해 보세요.
위 방법대로 플랜에서 본인의 구독 내역을 확인하고 내 플랜 취소를 선택해 해지하면 됩니다.






위 링크로 들어가면 본인 계정 상황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개요로 들어가 아래 Adobe 무료 멤버십 > adobe Acrobat > 살펴보기를 선택하면 다른 플랜의 무료 평가판 시작 버튼을 상단 바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다양한 문서 편집을 이용할 수 있고 서명까지 넣어서 문서를 공유할 수 있는 편리한 프로그램 어도비 애크로뱃 리더입니다. 무제한 체험이 7일밖에 안 되는 건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풀 기능을 활용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체험할 수 있어 좋은 것 같네요.

무료로 pdf  파일을 보거나 읽어 보려 한다면 어도비 애크로뱃 체험판을 추천해 드립니다.

그리드형

롯데카드 해지 탈회 과정 바로 확인

Posted by gams
2024. 11. 11. 22:32 세상의 모든상식

롯데카드 해지 탈회 과정 바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오늘 해지한다고 전화도 여러 번 걸었네요. 한 번에 바로 해지되지 않았다는 점이 좀 아쉽기는 한데, 해지 과정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롯데카드 해지 탈회 과정 바로 확인


저는 하나의 롯데카드만 가지고 있어서 해지와 동시에 탈회가 되었습니다. 보통 다른 카드를 가지고 있으면 탈회는 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럼 어떻게 해지했는지 그 과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롯데카드 해지 과정

 

1. 해지 전화 걸기
먼저 상담사에게 전화를 걸어야 합니다.



롯데카드 대표전화: 1588-8100

상담사 연결 전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Web발신]
■ 안녕하십니까? 롯데카드입니다 
■ ARS 경로    1588-8100 대표전화 ->1번 개인회원 -> 2번 누르는 ARS ->본인 맞으면 1번(비밀번호) ->3번 카드발급/해지/휴면카드 재사용 -> 3번 카드해지 -> 2번 보유카드 전체해지 (상담원연결) 

예전에 상담할 때 상담사분이 문자를 통해서 해지하는 과정의 선택 번호를 알려줬습니다.

참고로 결제한 내역이 바로 최근이라면 해당 결제 건의 매입전표가 넘어가야 하는 시간이 걸리므로, 3~4일 지난 뒤에 해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수요일쯤 결제 건이 있었고, 금요일에 상담원을 통해 해지하려고 하니까 아직 전표가 넘어오지 않았다고 다음주 월요일에 다시 연락을 하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며칠 있다가 연락해서 해지를 시도했습니다.

대표전화인 1588-8100으로 전화해서 위 과정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 앱에도 해지 메뉴가 있습니다.



MY > 카드 정보 관리 > 카드 해지 신청

여기서 바로 해지가 가능한 경우라면 앱에서 해지해도 됩니다.



단, 저는 두 번 해지할 상황이 있었는데 그때마다 상담사 전화를 걸어야 해지된다고 나오더군요. 아마도 홈페이지에서 해지되지 않는 카드이거나, 결제 금액이 걸려 있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참고:
2번 과정 전에 미리 4번 과정으로 선납을 하면 3번 과정 없이 한 번만 해지부서와 통화하면 해지가 가능합니다. 선납 금액을 꼭 확인하거나 상담사분의 정확한 안내가 필요한 분은 선납 결제 과정 없이 2번 과정 이후에 차례대로 넘어가면 됩니다.

 


2. 해지 의사 밝히기
통화 연결이 되면 상담원분께 해지 의사를 밝힙니다. 그러면 해지 부서에서 연락이 갈거라는 답변을 들을 수 있고, 전화를 끊으면 됩니다.



3. 해지부서 전화 받기
잠시 후 같은 대표번호 1588-8100으로 전화가 옵니다. 이건 해지부서에서 거는 전화입니다. 앞서 상담사분과 통화를 끊고 1분 정도 지나서 바로 해지부서의 전화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해당 전화를 받고 해지 전 결제금액에 대해서 확인합니다. 

결제 금액을 선납하지 않으면 해지가 불가능합니다.

매월 14일이 결제일이고 해당 월 결제 금액이 100만 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만약 그전 날짜에 전화를 걸어서 해지하겠다면 이 100만 원은 계좌 입금을 통해서 선납결제를 해야 해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달로 넘어간 결제 내역이 있다면 그것도 결제해 줘야 합니다. 상담사분께 남아있는 결제금액을 정확히 확인하도록 합니다.



4. 선납 결제하기
전화를 끊고 앱을 통해서 선납 결제를 시도합니다. 

선납 결제는 앱의 이용대금 내역이나 결제 내역에 가면 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금액이 적혀 있는 부분에서 바로출금을 하면 됩니다.



이번 달 금액 결제에서 이번 달 청구금액을 선택하고 결제해 주면 됩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본인의 결제 계좌를 통해서 해도 되고, 다른 계좌를 입력해서 결제해도 됩니다.  



결제가 완료되면 바로출금되었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이번 달 말고 다음 달 결제가 있다면, 앞서 바로출금 메뉴에서 이용건별 결제를 선택하고, 결제일자를 다음달 결제일로 선택하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14일이 결제일이므로, 다음달 결제일은 12월 14일이 됩니다. 11월 결제 건과 동일하게 처리하면 되겠습니다.



5. 대표전화로 완납 통보
1번 과정을 다시 한번 더 해줍니다. 일반 해지부서로 다이렉트 연결이 되지 않으므로, 다시 상담사를 통해서 해지부서 전화를 기다리면 됩니다. 

연결된 상담원분께는 해지를 위해 선납 결제를 다 했다고 얘기하면 알아서 해지부서 전화를 기다리라고 할 겁니다.



6. 해지부서 전화 확인
마지막 과정입니다. 해지부서에서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오면 받으면 됩니다. 해지에 따른 주의사항 등과 함께 가입비의 경우는 일할 계산된다고 알려줍니다.

요즘 카드는 가입비가 비싼 것도 많으므로, 꼭 해지할 때 일할해서 환급되는지를 나중에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완납 확인이 끝나면 바로 해지 탈회가 되었다고 알려줍니다. 카톡이나 문자로도 통보해 주니까 정확히 해지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해지, 탈회하면 카드 앱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론

 

롯데카드 해지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비록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고 상담원과의 통화가 필요하지만, 차근차근 따라 한다면 어렵지 않게 해지할 수 있습니다.

결제 내역의 경우 선납 결제가 필요하고, 해지 부서와 통화를 해야 해지가 가능한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나중에 가입비가 일할 계산되어 환급되었는지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참고하시면 보다 수월하게 해지 절차를 밟을 수 있을 겁니다. 롯데카드 해지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드형

전기히터 전력별 월간 전기요금 비교 분석 효율적인 난방 선택하기

Posted by gams
2024. 11. 10. 23:09 세상의 모든상식

겨울철 난방비 절약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전기히터 전력별 사용에 따른 월간 전기요금 비교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난방기구들의 전력량이 워낙 차이가 많다 보니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답답할 때가 많은데요, 해당 전기히터나 난방기구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알 수 있으면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기히터 전력별 월간 전기요금 비교 분석



날이 추워지면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는 게 전기난로나 전기장판, 전기히터 등입니다, 전력량을 모르고 무턱대고 사용하다가는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으니까 본문 글을 참고하셔서 현명한 소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전력의 전기히터를 사용할 때 예상되는 월별 전기요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분석 기준

2020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4인 가구의 월 평균 전기 사용량은 약 307kWh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계산했으며, 전기히터는 하루 8시간씩 30일 동안 사용한다고 가정했습니다.

지금은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사용량이 더 늘어났을 것으로 보이지만, 통계 자료가 현재는 2020년 기준밖에 없어서 이걸 기준으로 계산해 봤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현재는 각 가정의 1인당 사용하는 전기 사용량을 약 100kwh로 보면 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즉 4인 가구 기준 월 전기 사용량이 400kWh가 된다는 뜻입니다. 2020년의 307kWh와는 좀 차이가 있네요.

이 부분도 계산에 참고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월 전기 사용량: 307kWh
400W 전기히터 사용 시
400W 전기히터를 한 달 동안 사용하면 추가되는 전력량은
0.4kW × 8시간 × 30일 = 96kWh
총 전력 사용량: 307kWh + 96kWh = 403kWh

이걸 2024년 기준 주택용 전기요금표를 적용하여 계산해 보겠습니다.
400W 전기히터 사용 시 요금
기본요금: 1,600원
전력량 요금:
200kWh까지: 200 × 120원 = 24,000원
201~403kWh: 203 × 214.6원 = 43,563.8원
총전력량 요금: 67,563.8원
기후환경요금: 403 × 9.0원 = 3,627원
연료비조정요금: 403 × 5.0원 = 2,015원
소계: 74,805.8원

여기에 부가가치세 10%와 전력산업기반기금 3.7%를 더하면,
최종 예상 요금: 약 85,050원

 

전력별 월간 전기 사용량 및 예상 요금

다음은 각 전력별 전기히터 사용 시 예상되는 월간 총 전기 사용량과 요금입니다.

히터 전력 월간 총 사용량 예상 월 전기요금
350W 391.0kWh 82,240원
400W 403.0kWh 85,050원
500W 427.0kWh 90,680원
600W 451.0kWh 96,300원
700W 475.0kWh 108,530원
800W 499.0kWh 127,260원

 

350W와 800W 전기히터 사용 시 분석 결과

  1. 사용량 증가: 350W에서 800W로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월간 전기 사용량은 108kWh 증가합니다.
  2. 요금 상승: 전력 증가에 따라 월 전기요금은 약 45,020원 상승합니다.
  3. 요금 단계 변화: 400W 이상의 히터 사용 시 월 사용량이 400kWh를 초과하여 높은 요금 단계가 적용됩니다.
  4. 효율성 고려: 전력이 높을수록 난방 효과는 좋을 수 있으나, 전기요금 상승폭이 커집니다.


전기히터 선택 시 고려사항

  1. 공간 크기: 난방할 공간의 크기에 맞는 적절한 전력의 히터를 선택합니다.
  2. 단열 상태: 집의 단열 상태가 좋을수록 낮은 전력의 히터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3. 사용 시간: 장시간 사용할 경우 낮은 전력의 히터가 전기요금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예산: 초기 구매 비용과 월간 전기요금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전기히터 효율적 사용 팁

  • 시간 조절: 필요한 시간에만 켜고 끄기
  • 온도 설정: 적정 온도 유지하기
  • 공간 밀폐: 열 손실 최소화하기
  • 보조 난방: 내복, 담요 등 병행 사용하기

 

결론

 

전기히터 선택 시 난방 효과와 전기요금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합니다. 400W 이하의 히터를 선택하면 월 400kWh 이하로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요금 단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난방 효과를 고려해야 하므로, 공간의 크기와 단열 상태를 함께 평가하여 적절한 전력의 히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가정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전기히터를 선택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면, 따뜻한 겨울을 보내면서도 전기요금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현명한 난방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드형

갤럭시 와이드7과 갤럭시 A15 공통점 차이점 알아보기

Posted by gams
2024. 11. 9. 23:23 Review/Digital

갤럭시 와이드7과 갤럭시 A15 공통점 차이점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둘 스마트폰은 출시 시기도 비슷하고 출고가도 비슷해서 거의 같은 폰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갤럭시 와이드7 다크 블루 모델


단 디자인적인 부분이나 기타 몇 가지 부분에서는 차이점이 있지만, 그래도 이 정도면 쌍둥이 폰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많이 닮아있죠. 

현재 마이너스폰으로도 많이 판매되고 있는 폰이어서 관심이 가는 기종들입니다. 둘 다 써 본 입장에서 한 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공통점

 

갤럭시 와이드7과 갤럭시 A15는 삼성의 중저가 스마트폰 라인업에 속하는 모델들로,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1. 프로세서: 두 모델 모두 MediaTek Dimensity 6100+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2. 디스플레이: 6.5인치 FHD+ Super AM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90Hz 주사율을 지원합니다.

3. 카메라 구성: 메인 카메라는 5,000만 화소로 동일하며, 초광각과 매크로 렌즈도 유사한 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4. 충전 속도: 두 모델 모두 25W 고속 충전을 지원합니다.

 

 

갤럭시와이드7 그레이 컬러의 전면부

 

차이점


1. 배터리 용량: 갤럭시 와이드7은 6,000mAh 배터리를 탑재한 반면, 갤럭시 A15는 5,000mAh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2. 출시 모델: 갤럭시 와이드7은 SK텔레콤 전용 모델로 출시되었고, 갤럭시 A15는 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자급제 모델로 모두 출시되었습니다.

3. 후면 디자인과 무게가 다릅니다. 갤와7의 경우 가로 선이 새겨진 무늬가 들어 있어서 호불호가 갈릴 수 있습니다. 무게는 배터리가 더 큰 갤와7이 217g, A15가 200g으로 17g 차이가 나며 갤와7이 더 무겁습니다.

3. 특화 기능: 갤럭시 와이드7은 ZEM 앱 등 SK텔레콤 특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4. 출시 시기: 갤럭시 와이드7은 2024년 6월에 출시된 반면, 갤럭시 A15는 그보다 앞선 시기에 출시되었습니다.

5. 가격: 갤럭시 와이드7의 출고가는 374,000원으로, 갤럭시 A15보다 약간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와이드7 다크 블루의 후면 디자인

 

* 기타 특징 비교

 

1. 출고가:
갤럭시 와이드7: 374,000원
갤럭시 A15: 319,000원

두 모델의 가격 차이는 55,000원으로, 갤럭시 와이드7이 갤럭시 A15보다 약간 더 높은 가격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2. 출시 색상
갤럭시 와이드7: 라이트 블루, 다크 블루, 그레이
갤럭시 A15: 블루 블랙, 라이트 블루, 옐로우

두 모델 모두 3가지 색상으로 출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라이트 블루 색상이 있습니다.
(이름은 라이트 블루인데 실제 모델의 느낌은 조금 다르더군요.)

갤럭시 와이드 7은 추가로 다크 블루와 그레이 색상이, 갤럭시 A15는 블루 블랙과 옐로우 색상이 제공됩니다.

3. 카메라 성능 비교 요약
갤럭시 와이드7과 갤럭시 A15의 카메라 성능에는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카메라 공통점:

1. 두 모델 모두 5,000만 화소 메인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2. 500만 화소 초광각 카메라와 200만 화소 접사(또는 심도) 카메라를 포함한 트리플 카메라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전면 카메라는 둘 다 1,300만 화소입니다.

4. 일상적인 사진 촬영과 소셜 미디어용 콘텐츠 제작에 적합한 수준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갤럭시 와이드 7의 카메라 메뉴




차이점

1. 갤럭시 와이드 7은 SKT 전용 모델로, 일부 특화된 기능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갤럭시 A15는 LTE 모델과 5G 모델이 있는 반면, 갤럭시 와이드7은 5G 모델만 출시되었습니다.

3. 갤럭시 A15의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시 약간의 셔터 지연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되었습니다.

4. 갤럭시 A15는 야간 모드에서 노이즈와 과도한 처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 갤럭시 와이드7은 아직 사용자가 많지 않아서 정확한 카메라 성능이나 오류에 대한 얘기가 적은 편입니다.

두 모델 모두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카메라 성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일상적인 사진 촬영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충분한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사양 카메라 기능이나 전문적인 사진 촬영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겠죠. 이건 다른 브랜드 중저가 스마트폰도 똑같은 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갤럭시 A15 옐로우 모델

 

 


결론

 

결론적으로, 갤럭시 와이드7과 갤럭시 A15는 삼성의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주목받는 모델들입니다. 두 기기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쌍둥이 폰'이라 불릴 만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배터리 용량, 출시 모델, 특화 기능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이 두 스마트폰은 각자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갤럭시 와이드7은 더 큰 배터리와 SKT 특화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갤럭시 A15는 더 다양한 구매 옵션과 약간 저렴한 가격대를 자랑합니다.

두 모델 모두 일상적인 사용과 소셜 미디어 활동에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며, 특히 카메라 성능은 이 가격대에서 상당히 만족스러운 수준입니다. 사용자의 필요와 선호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좋은 옵션이 될 것입니다.

결국, 갤럭시 와이드7과 갤럭시 A15 중 어느 것을 선택하든, 합리적인 가격에 준수한 성능을 갖춘 스마트폰을 소비자는 얻게 되는 셈이죠. 개인의 사용 패턴과 우선순위를 고려해 선택한다면, 두 모델 모두 만족스러운 사용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드형

신세계백화점 무료 주차권 사용하는 방법

Posted by gams
2024. 11. 8. 23:06 세상의 모든상식

신세계백화점 무료주차권은 신세계백화점 회원이기만 하면 바로 얻을 수 있습니다. 보통 물품을 구매하고 주차권을 받을 수 있지만, 구매하지 않고 구경만 한다든지 할 때는 무료주차권이 꼭 필요하죠.

신세계백화점 무료 주차권 사용하는 방법


오늘은 앱을 통해서 어떻게 주차권을 얻을 수 있는지 바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푸시 알림을 받기만 하면 한 달에 두 장의 주차권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세계백화점 무료주차권 발급받기




앱스토어나 구글스토어에서 신세계백화점 앱을 다운받아 설치해 주세요.



SSG닷컴 회원이면 같은 아이디를 사용합니다. 해당 아이디로 로그인해 주세요. 만약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신규가입하면 되겠습니다.



로그인 후 홈 화면입니다. 여기서 주차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제가 처음 선택한 지점은 신세계 센텀시티점입니다.



주차 메뉴로 들어가면 등록한 차량 정보가 나옵니다. 해당 부분도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면 신규로 등록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보면 APP PUSH 허용 고객 혜택이라는 배너가 있는데요, 여기를 선택해 주세요.



해당 메뉴에서는 APP 푸시를 허용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허용하면 무료주차권을 2장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나오네요.

원래 10월 이전에는 주차권이 3장이었는데, 지금은 2장만 받을 수 있습니다.

무료주차권의 주차 가능 시간은 최대 3시간까지입니다. 2장이니까 한 달에 6시간 주차가 가능한 셈이죠.



아래쪽 허용 부분을 선택해 주세요. 저는 이미 수령했기 때문에 수령했다는 내용으로 나오지만, 처음 받을 때는 PUSH  부분이 OFF로 되어 있고 주차권을 미지급한 상태로 되어 있을 겁니다.

설정 안 되어 있다면 설정 > 알림 설정에서 변경해 주세요.



아이폰의 경우는 설정 > 알림 > 알림 스타일에서 신세계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알림 허용을 켠 상태로 바꿔주면 되겠습니다.



알림 허용으로 바꾸면 바로 주차권이 지급되는데요, 아까 주차권이 0으로 되어 있었는데 2로 바뀌어서 지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네요.


그리고 주차장에서 나가기 전에 주차권 사용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팝업 창이 뜨면 사용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따로 주차권 정산을 하지 않고 앱에서 무료주차 시간 동안 주차한 것을 처리할 수 있죠.



사용 후 아래쪽에 무료주차권이 사용되었다는 메시지 창이 뜹니다. 

이제 주차권을 사용했기 때문에 그대로 주차장에서 출차하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인 무료 주차 시간은 센텀시티점의 경우 구매금액이 1만 원 이상일 때 1시간, 3만 원 이상은 2시간, 5만 원 이상일 경우 3시간 무료입니다. 최대 5시간까지 주차가 가능하군요.

그리고 구매하지 않더라도 잠깐 주차를 했다면 기본 30분은 무료이니까 이 점도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무료주차권을 사용할 수 없는 지점도 있습니다. 강남점, 타임스퀘어점, 스타필드 하남점, 마산점은 사용할 수 없다고 되어 있네요.

 

 

물품을 구매하면서 해당 영수증으로 무료 주차 시간을 써도 되겠지만, 이렇게 무료주차권을 이용할 수 있다면 좀 더 편리하게 신세계백화점을 방문할 수 있겠죠.

 이상 신세계백화점 무료주차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리드형

해외직구 통관 상태 조회 모바일로 빠르게

Posted by gams
2024. 11. 7. 23:44 세상의 모든상식

해외직구 통관 상태 조회 모바일로 빠르게 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해외직구도 국내 배송만큼 빠르게 진행되는 곳도 있어서 상품 검색을 할 때 알리나 테무 같은 곳도 곧잘 검색하곤 하죠.

해외직구 통관 상태 조회 모바일로 빠르게


특히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검색하면 배송비가 안 붙은 제품들이 많아서 그만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전에 국내 오픈마켓만 검색할 때와는 또 다른 쇼핑 경험이 되고 있네요.

그럼 해외직구 통관조회 어떻게 모바일 폰으로 빠르게 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해외직구 상태 조회는 통관알리미로 검색

 

모바일 폰에서 통관조회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폰에서 통관알리미로 검색해서 사이트로 들어가 주세요. 따로 회원가입 같은 건 필요 없고, 본인이 구매한 제품의 운송장 번호만 있으면 됩니다.

▶️ 통관알리미 바로가기 링크

https://7customs.com

 

통관알리미

해외 직구 통관 조회 및 알림 서비스 통관알리미 입니다.

7customs.com




알리 같은 경우 구매 내역에 가 보면 현재 물품의 진행 상태와 운송장 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스샷이 통관알리미 홈페이지 화면입니다. 

제일 상단에 운송장 조회 부분에 운송장번호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누르면 바로 현재 상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제가 얼마 전에 주문한 제품의 현재 통관 상태입니다.

통관 상태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며, 저는 통관 대기로 떠서 지금 세관에서 통관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네요.

재미있는 것은 최근 다른 사람들의 통관 상태를 보고, 제 물건이 언제쯤 통관될 것인지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상태 아래쪽의 통관완료 예상일 부분에 보면, 내 입항일과 함께 통관완료 시기가 나오는데요, 실제로 통관되는 날짜는 아니고 예측 날짜입니다.

11월 6일에 입항한 물건이 11월 8일 통관완료될 예정이라고 하니 이틀 걸려서 통관될 수 있다는 얘기죠.



이 밖에도 아래쪽에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니까 원하는 정보가 있다면 차근차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생각보다 세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무척 인상적인데요, 일반 직구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두루뭉술한 상태 정보보다는 훨씬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상 해외직구 통관 상태 조회 모바일로 빠르게 하는 방법 알아봤습니다. 막연하게 어디쯤 있을까 생각하지 마시고 통관알리미로 직구 물품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드형

2024년 미국 대선 투표일과 투표 결과 발표 시기

Posted by gams
2024. 11. 4. 23:38 세상의 모든상식

미국의 차기 대통령을 선출하는 2024년 대선이 다가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투표일과 투표 결과 발표 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선 투표를 하고 나서 당선 결과를 볼 때까지 한국보다 더욱 까다로운 미국의 대선 방식 때문에 그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2024년 미국 대선 투표일과 투표 결과 발표 시기


현재 트럼프와 해리스가 경합을 벌이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누가 더 앞서고 있는지를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죠. 

따라서 누가 대통령에 당선된다고 해도 정치적으로나 기타 여러 부분에서 선거의 후폭풍이 예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미국의 대선 방식

 

미국은 한국과 달리 간접 선거로 치러집니다. 한국은 국민 한 명이 한 표를 직접 행사해서 대통령을 뽑지만, 미국은 국민이 선거인단을 뽑고 이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는 간접 선거 방식으로 진행되죠.

1차 투표, 2차 투표를 거쳐 결과가 나오는 방식입니다.

선거인단이 후보를 선택하면 승자 독식 방식에 의해서 해당 지역의 표를 한 표라도 더 획득한 후보에게 모두 몰아주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경합지에서 표를 모두 모아 더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는 것이죠.


 

투표일  확정 및 투표 시간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미국 시간으로 11월 5일 화요일에 실시됩니다. 이 날짜는 법률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1854년에 제정된 '선거일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는 11월 첫 번째 월요일 다음날에 치르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2024년 미국 대선일은 11월 첫 번째 월요일 다음날인 화요일, 11월 5일이 되는 것이죠.

한국시간으로는 11월 5일 오후 2시에 투표가 시작되며, 이는 미국 동부 시간으로 11월 5일 0시(자정)에 해당합니다. 미국 50개 주에서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24시간 동안 투표가 이뤄집니다.

시작은 뉴햄프셔의 딕스빌 노치라는 작은 마을에서 첫 투표가 시작되며, 이후 동부에서 서부로 투표가 이어집니다.

첫 투표의 마감은 한국 시간으로 11월 6일 오전 8시 (미국 동부 시간 11월 5일 오후 6시)이며,
최종 투표 마감 시간은 한국 시간으로 11월 6일 오후 3시 (미국 동부 시간 11월 6일 새벽 1시)입니다.



주요 경합주 투표 마감 시간 (한국 시간 기준)

- 11월 6일 오전 9시: 조지아 등 6개 주
 -11월 6일 오전 9시 30분: 노스캐롤라이나 등 4개 주
- 11월 6일 오전 10시: 펜실베니아 등 17개 주
- 11월 6일 오전 11시: 미시간, 애리조나, 위스콘신 등 15개 주
- 11월 6일 오후 12시: 네바다 등 3개 주

투표 시간은 주별로 12~15시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본토에만 4개의 시간대가 있어서 일부 주에서 투표가 진행 중일 때 다른 주에서는 이미 개표가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대선은 7개 경합주에서 초접전이 예상되고 사전 투표도 많아서, 최종 결과까지는 며칠이 걸릴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결과 발표, 언제 이뤄질까?

 

선거 결과 발표의 시기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투표일 당일 밤 발표 가능성
경합주에서 한 후보가 압도적인 우위를 보일 경우, 투표 당일 밤에 승자가 가려질 수 있습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2012년 대선에서는 투표 당일 밤 11시 38분에 승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날 승리한 후보는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로, 공화당의 밋 롬니 후보를 제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2. 며칠 걸릴 수도...
접전이 벌어지거나 개표가 지연되면 결과 확인에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2020년 대선의 경우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를 상대로 승리를 선언하기까지 4일이나 소요되었습니다. 

3. 주마다 다른 개표 방식이 관건
미국은 각 주별로 투표와 개표 방식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애리조나 주는 본 투표일까지 우편투표를 받아들여서 개표 완료에 최대 13일까지 걸릴 수 있다고 하죠.

4. 경합주에 주목
7개 주요 경합주의 투표는 11월 5일 동부시간 오후 7시에서 10시 사이 (한국시간 11월 6일 오전 9시~12시)에 마감됩니다. 이 주들의 결과가 전체 선거의 향방을 좌우할 수 있어 특히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2024년 미국 대선 결과는 빠르면 투표 당일 밤, 늦으면 며칠 후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합주의 상황과 개표 속도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네요.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이번 선거, 어떤 결과가 나올지 함께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얼마 전까지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유력시 되더니, 오늘은 갑자기 영국의 여론조사 기관이 미국 유권자 3만 1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의 하락세가 점쳐지며 마지막 승기는 해리스가 잡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합니다.



해당 여론조사 업체는 이번에 조사한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트럼프의 첫 번째 대통령 당선과 영국의 브렉시트를 정확히 예측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40년 간 10번의 미국 대선 중 단 한 번만 빼고 모두 맞혔던 아메리칸 대학교의 앨런 릭트먼 교수는 이번 대선에서 해리스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는데요,

과연 이런 해리스 당선 예측의 결과가 맞을지, 아니면 끝까지 트럼프가 승기를 잡고 대통령이 될지는 아직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네요. 해리스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 둘 다 잘 어울리기는 합니다.

2024년 미국 대선 투표일의 날이 밝으면 이제 곧이어서 투표 결과가 발표될 겁니다. 트럼프, 해리스 누가 대통령이 되든 안정적인 정치적 기반을 바탕으로 미국과 세계를 잘 이끌어갔으면 하네요.


* 참고 글:
지난 2016년 트럼프가 대선에 당선되었을 때 한국에 대한 정책 분석 글입니다.

트럼프 한국 정책과 공약
https://gamsbok.tistory.com/1170

 

트럼프 한국 정책과 공약

트럼프 한국 정책과 공약 트럼프가 백악관의 주인이 될 가능성이 이제는 높아졌습니다. 그보다는 힐러리에 집중했던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벌써부터 주식시장이 요동치면서 불안함을 보이고 있

gamsbok.tistory.com

 

그리드형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납입 후 받는 수령액 확인

Posted by gams
2024. 10. 29. 17:25 세상의 모든상식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납입 후 받는 수령액 확인해 봅니다. 우대 저축공제는 중기 재직자에 한정해서 국민연금처럼 근로자와 기업이 각각 금액을 나눠 납부하면, 나중에 만기 때 일시금으로 납입액을 찾을 수 있는 저축 상품입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납입 후 받는 수령액 확인


높은 이자와 함께 근로자가 전액 납부하지 않고 기업이 일부 금액을 부담하므로, 조건만 된다면 가입 안 할 수 없는 상품이죠.

그럼 어떤 기준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바 알아보겠습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란?

 

중소기업 재직자 누구나 납입금액 10만 원 ~ 50만 원까지 내고, 기업지원금을 재직자의 납입금액 20%를 더해서 납입하는 저축 상품입니다. 협약은행은 기존 금리 3%에 금리우대로 2%를 더해 추가로 더해주므로 최대금리 5%를 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일반 저축 상품에 비해 높은수익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특히 가입 나이 제한이 없기 때문에 기존 청년저축상품보다 조건이 좋은 편입니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관련 자료 링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57127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출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28일(월) 서울 구로구 IBK기업은행 구로동지점에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출시를 맞아 첫 가입자인 중소기업 재직자를 축하하고 격려하는

www.korea.kr




우대 저축공제 가입 조건

근로자 및 기업주가 함께 월 납입 금액 등을 협의한 다음, 중진공에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협약은행을 방문해서 저축상품에 가입하면 됩니다.  

참고로 근로자가 납입 기한 중 중도퇴사하게 되면 적립된 기업 지원금은 반환해야 합니다.

정부는 이에 대해 기업의 소득세를 감면해 주는 정책을 시행하게 됩니다.  


 

납입금 및 수령액 예시

 

예를 들어 상품에 가입한 근로자가 월 50만 원씩 5년 동안 월불입금을 납입했다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근로자는 5년간 원금만 3000만 원을 납입하게 되지만, 여기에 기업지원금 20%인 10만 원이 적립되어 1000만 원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우대금리까지 더해진 최종 수령액은 4027만 원을 받게 됩니다.

근로자는 3천만 원만 납부했는데 여기에 1027만 원을 더해서 수령하는 셈입니다.



상품 취급 은행

IBK기업은행, 하나은행



문의처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실 인력정책과 044-204-7796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성과보상처 055-751-2971, 2980
IBK기업은행 개인고객부 02-6322-5144
하나은행 리테일상품부 02-2002-1298

 



25일 기준 현재 567개 기업 소속 재직자 1737명이 상품에 가입했으며, 기존의 청년재직자 내일채움 공제 상품에 비해 신청자가 2배나 된다고 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내일채움공제의 경우 부담금이 200%에 달했기 때문에, 기업 부담을 줄이면서 가입 조건 완화로 근로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 양쪽 다 이득인 상품이네요.

특히 중소기업에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져서 기업 입장에서는 환영할만한 정책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상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납입 후 받는 수령액 금액 확인해 봤습니다.

그리드형